영화 <관상> 정보 및 등장인물
영화 <관상>은 2013년 개봉작으로, 사극, 정치, 스릴러 영화입니다. 한재림 감독의 작품으로 그의 영화는 가벼워 보이지만 뒤로 갈수록 상당히 진지하고 무거운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이 영화도 초반은 유쾌하게 시작하지만 후반부에는 진지한 전개로 무거운 분위기를 그려냅니다. 실제 역사 15세기 계유정난을 배경으로 하였으며 가상의 인물 관상가와 관상학을 소재로 한 작품입니다. 한국의 대표 연기파 배우 중 한 명인 송강호가 관상가 김내경 역으로 출연하였습니다. 김내경은 천재 관상가이며 역모에 연루되어 몰락한 가문의 아들로 처남과 아들과 함께 시골에 은둔해 삽니다. 배우 이정재는 수양대군 역을 맡아 카리스마 넘치는 모습을 선보였으며, 배우 백윤식은 호랑이 상을 지닌 김종서 역, 조정석은 김내경의 처남 팽헌, 이종석은 김내경의 아들 김진형, 김혜수는 기생 연홍, 김의성은 한명회 역으로 출연하였습니다. 가상의 인물 중 한 명인 팽헌은 다혈질에 품행이 방정맞지만, 조카 진형을 매우 아끼고 유쾌한 성격의 인물입니다. 아들 김진형은 다리 한쪽을 저는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뛰어난 능력과 강직한 성품을 지닌 인물입니다.
줄거리
천재 관상가 김내경은 시골에서 처남 팽헌과 아들 진형과 매우 가난하게 살고 있습니다. 어느 날, 한양에서 기생 연홍이 그를 찾아오고 그녀의 제안으로 김내경은 한양으로 갑니다. 그는 연홍에게 속아 그녀의 기생집에서 관상일을 하며 착취를 당하다 김종서를 만나고 김종서는 내경의 재능을 알아보고 그를 등용합니다. 이후 내경은 여러 인물들의 관상을 봐주며 역모를 일으킬 관상을 가진 인물들을 골라냅니다. 하지만 이를 눈치챈 수양대군은 계략을 세웁니다. 그는 다른 사람을 수양대군이라 속여 내경이 자신의 얼굴을 못 보게 하고 결국 그는 김종서를 죽이고 역모에 성공합니다. 한편 김내경의 아들 진형은 자신의 출신을 속여 관직에 나가지만 강직한 성품의 진형은 단종의 편에 서고 수양대군은 자신을 따르지 않은 죄로 진형을 포함한 관리인들에게 참수형을 내립니다. 아들을 살리려 내경은 수양에게 아첨을 하지만 결국 수양대군은 진형을 죽입니다. 진형의 삼촌 팽헌은 수양과 한명회의 계략에 빠져 김종서가 거사를 꾸미고 있다는 비밀을 수양대군에게 누설하는 실수를 합니다. 이는 수양대군이 역모에 성공하는데 도움이 되고, 조카 진형이 죽자 죄책감에 빠져 스스로 목소리를 끊어버립니다. 자식을 잃은 김내경은 폐인이 되어 팽헌과 산속에서 속세와 인연을 끊고 살아갑니다. 얼마 후 한명회가 그를 찾아옵니다. 내경은 그에게 목이 잘릴 상이라고 관상을 봐주고 그 후 한명회는 두려움에 떨며 지내다, 사후 목이 잘리는 부관참시를 당합니다.
국내 해외 반응
영화의 역사적 배경 계유정난이 워낙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며 이미 많은 작품에서 다뤄진 소재로 스토리 자체는 평이 할 수밖에 없지만 관객 평점은 높은 8.03을 받은 영화입니다. 이는 배우 송강호, 이정재, 김혜수, 조정석, 김의성 등과 같은 뛰어난 연기력으로 인정받고 있는 배우들의 열연과 더불어 관상이라는 소재로 독특한 분위기를 잘 연출하였기 때문이라는 평입니다. 특히 국내에서는 이정재 배우의 첫 등장 장면과 "내가 왕이 될 상인가?"라는 대사는 아직까지도 회자되며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한재림 감독은 영화 전반부의 코미디와 후반부의 정치 스릴러의 조화를 매우 자연스러우면서도 긴장감 있게 잘 연출하며 평론가들과 관객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습니다. 또한 영화 OST는 영화의 분위기를 더욱 풍부하게 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며 평론가들의 극찬을 받았으며, 수양대군의 등장 장면과 마지막 반역 장면에 쓰인 음악은 많은 관객들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OST발매가 되지 않아 많은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아쉽게도 1000만 관객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900만 관객수를 돌파하며 흥행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개봉 후 2023년 청룡영화상에서 남우조연상 수상, 대종상에서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남우조연상 등 여러 부문에서 수상하였으며, 이어서 2024년 백상예술대상에서 남자조연상을 수상한 기록이 있습니다. 또한 해외에서도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한국의 문화와 역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기여한 작품으로 평가됩니다.